녹조현상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과 관련, "정부의 4대강 사업 영향을 검증해야 한다"는 주장이 나왔다.
경기도의회 이재준(민·고양2) 도의원은 9일 자료를 내 "북한강 수계에서 녹조 현상은 지난해 12월1일부터 발생했다"면서 "강우량 감소와 온도 상승 탓이라는 환경부의 설명에는 미흡한 점이 많다"며 이같이 주장했다.
이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북한강 남양주 화도취수장에서 녹조가 발생해 수돗물 악취 민원이 제기됐다.
전달(11월) 평균 기온이 9.6℃, 강우량 1.86㎜인 상태에서 녹조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.
하지만 이듬해 봄인 지난 4월15일~5월15일 한 달간 기온은 16.4~20.6℃로 당시보다 높고, 강우량은 0.63㎜로 오히려 적었으나 녹조는 발생하지 않았다.
이와 관련, 이 의원은 "4대강 사업을 시행하면서 필터 역할을 하는 모래를 거둬 내 침전지가 대규모로 훼손되고 수생식물이 감소하면서 녹조가 발생한 것은 아닌지 해명이 필요하다"고 말했다.
그는 "수변구역을 대단위로 개발하면서도 오염 정화가 가능하다는 이론의 상시적용 위험성은 없는지도 따져봐야 한다"고 했다.
이 의원은 "22조원을 들여 4대강 사업을 한 것을 제외하고도 팔당 상수원 보호를 위해 2조5000억원을 상수원보호지역에 투자해왔다"며 "오히려 녹조현상이 심화된 이유를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"고 밝혔다.
도내에서는 지난달 말부터 북한강 수계에서 발생한 녹조로 남양주와 용인시, 부천시 등 14개 시·군 수돗물에서 악취가 난다는 민원이 잇따르고 있다.
악취의 원인은 남조류의 일종인 아나베나가 대사 과정에서 발생시키는 '지오스민'이라는 물질로, 100℃에서 3분 정도 끓이면 쉽게 제거되며 인체에는 해롭지 않다고 도는 전하고 있다.
도와 환경부는 폭염과 가뭄으로 물의 체류기간이 길어져 녹조가 발생했다며 비가 내리면 쓸려갈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.
도 관계자는 "북한강 수계는 4대강 사업과 관련이 없다"면서 "오히려 북한의 금강산댐 건설로 연간 18억t에 이르는 유량이 줄어든데 따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"고 했다. /뉴시스